2016.4.8 금.환율 시황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16-04-08 10:52 조회354회 댓글0건본문
국제금값, 엔/달러 급락·FOMC 의사록 영향 1.1%↑
국제 금값이 엔/달러 환율 급락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의사록 영향으로 다시 1230달러를 회복했다.
7일(현지시간) 뉴욕상품거래소에서 국제 금 가격은 전날보다 온스당 13.70달러(1.1%) 상승한 1236.20달러를 기록했다.
이날 엔/달러 환율은 한 때 108엔대가 붕괴되는 등 1.5% 넘게 급락하고 있다. 달러 약세는 금과 같은 상품 가격 상승 요인으로 작용한다.
전날 공개된 3월 FOMC 의사록도 호재로 작용했다. 정책위원들이 4월 금리 인상 여부를 놓고 격론을 벌였지만 아직은 시기상조라는 의견이 더 많았다. 일반적으로 금리 인상은 금값 하락 요인으로 작용한다.
[오늘의 환율전망] 투심 위축으로 상승… '1161원' 안팎
2016-04-08 08:52:03
오늘(8일)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 종가 대비 큰 폭으로 상승한 1161~2원 수준에서 움직일 것으로 예상된다.
전날 서울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일 대비 4.7원 내린 1151.4원에 장을 마감했다. 국제유가의 반등으로 주요국 증시도 일제히 상승하며 투심 개선에 따른 하락 압력이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밤사이 국제유가와 주요국 증시가 약세를 보이면서 안전자산 선호심리가 강화됐다. 일본 중앙은행(BOJ)의 양적·질적완화 등 통화정책에 대한 신뢰성이 약화되면서 엔화는 강세를 지속했다. 다음달 G7회의가 일본에서 열릴 것으로 예정된 가운데 BOJ의 외환시장 직접 개입이 제한될 것이라는 분석도 힘을 얻었다.
이에 달러/엔은 108엔 초반대에서 거래됐다. 유로/달러는 비둘기파(통화완화)적 3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의사록 발표에 따른 약달러 연장으로 1.13달러 후반에서 등락을 반복했다.
하건형 신한금융투자 이코노미스트는 “전날 투심 개선에 따른 환율 하락을 하루 만에 되돌릴 것”이라며 “가파른 엔화 강세에 실물과 금융시장에 대한 충격 우려도 투심을 억제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그는 “미국의 전·현임 연방준비제도(Fed) 의장 간 토론회에서 미국을 포함한 글로벌 경기 판단 및 통화정책 정상화를 파악할 수 있다”며 “토론에서 Fed가 매파(통화긴축)적 태도를 보이면 달러가 강세를 보일 것”이라고 설명했다.
국제 금값이 엔/달러 환율 급락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의사록 영향으로 다시 1230달러를 회복했다.
7일(현지시간) 뉴욕상품거래소에서 국제 금 가격은 전날보다 온스당 13.70달러(1.1%) 상승한 1236.20달러를 기록했다.
이날 엔/달러 환율은 한 때 108엔대가 붕괴되는 등 1.5% 넘게 급락하고 있다. 달러 약세는 금과 같은 상품 가격 상승 요인으로 작용한다.
전날 공개된 3월 FOMC 의사록도 호재로 작용했다. 정책위원들이 4월 금리 인상 여부를 놓고 격론을 벌였지만 아직은 시기상조라는 의견이 더 많았다. 일반적으로 금리 인상은 금값 하락 요인으로 작용한다.
[오늘의 환율전망] 투심 위축으로 상승… '1161원' 안팎
2016-04-08 08:52:03
오늘(8일)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 종가 대비 큰 폭으로 상승한 1161~2원 수준에서 움직일 것으로 예상된다.
전날 서울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일 대비 4.7원 내린 1151.4원에 장을 마감했다. 국제유가의 반등으로 주요국 증시도 일제히 상승하며 투심 개선에 따른 하락 압력이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밤사이 국제유가와 주요국 증시가 약세를 보이면서 안전자산 선호심리가 강화됐다. 일본 중앙은행(BOJ)의 양적·질적완화 등 통화정책에 대한 신뢰성이 약화되면서 엔화는 강세를 지속했다. 다음달 G7회의가 일본에서 열릴 것으로 예정된 가운데 BOJ의 외환시장 직접 개입이 제한될 것이라는 분석도 힘을 얻었다.
이에 달러/엔은 108엔 초반대에서 거래됐다. 유로/달러는 비둘기파(통화완화)적 3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의사록 발표에 따른 약달러 연장으로 1.13달러 후반에서 등락을 반복했다.
하건형 신한금융투자 이코노미스트는 “전날 투심 개선에 따른 환율 하락을 하루 만에 되돌릴 것”이라며 “가파른 엔화 강세에 실물과 금융시장에 대한 충격 우려도 투심을 억제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그는 “미국의 전·현임 연방준비제도(Fed) 의장 간 토론회에서 미국을 포함한 글로벌 경기 판단 및 통화정책 정상화를 파악할 수 있다”며 “토론에서 Fed가 매파(통화긴축)적 태도를 보이면 달러가 강세를 보일 것”이라고 설명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